안녕하세요.
오늘은 [VMware vCenter][#1]- vCenter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VMware vCenter는 **VMware vSphere 환경(ESXi 호스트 + 가상머신들)**을 중앙에서 관리하기 위한 통합 관리 서버입니다.
즉, 여러 개의 ESXi 서버를 효율적으로 운영·관리하기 위한 "관리 콘솔" 역할을 합니다.
구분 설명
| 1. 중앙 관리 (Centralized Management) | 여러 대의 ESXi 호스트와 그 위의 가상머신(VM)을 한 곳에서 관리. |
| 2. 자원 통합 (Resource Pooling) | CPU, 메모리, 스토리지, 네트워크 자원을 묶어서 여러 VM에 효율적으로 분배. |
| 3. 고가용성 (vSphere HA) | ESXi 호스트가 다운되어도 VM이 자동으로 다른 호스트에서 재시작. |
| 4. 무중단 서비스 (vMotion) | VM을 다운 없이 다른 ESXi 호스트로 실시간 이동 가능. |
| 5. 클러스터 관리 (Cluster Management) | 여러 ESXi 호스트를 하나의 클러스터로 묶어 부하 분산(DRS) 및 HA 구현. |
| 6. 백업 및 스냅샷 관리 | 가상머신 상태를 스냅샷으로 저장하거나 백업 관리. |
| 7. 템플릿 & 자동 배포 | 표준 VM 템플릿을 만들어 빠른 신규 서버 배포 가능. |
| 8. 접근 제어 및 감사 (RBAC, Audit) | 사용자별 권한 제어 및 이벤트/로그 관리. |
| 9. API / 자동화 지원 | PowerCLI, REST API 등으로 자동화 스크립트 및 외부 시스템 연동. |
실제 사용 예시.
- IDC나 사내 서버실에 ESXi 5~10대 이상 운영할 때 vCenter로 통합 관리
- HA + vMotion + DRS로 무중단 유지보수 및 성능 자동 분산
- 백업 솔루션(Veeam 등) 연동 시 필수적으로 vCenter 정보 사용
구분 단독 ESXi vCenter 환경 (vSphere)
| 관리 범위 | 한 대의 ESXi만 관리 | 여러 대의 ESXi를 중앙에서 통합 관리 |
| 접속 방식 | 직접 ESXi 웹(https://ESXi-IP/ui)로 접속 | vCenter 웹 콘솔 (https://vcenter-FQDN/ui) |
| vMotion / DRS / HA | ❌ 불가능 | ✅ 가능 (클러스터 구성 시) |
| 자원 풀(Resource Pool) | ❌ 불가능 | ✅ 가능 |
| 템플릿 배포 / 클론 생성 | 제한적 | ✅ 완전 지원 |
| 백업 연동 (Veeam, Nakivo 등) | 단일 호스트 기준 | ✅ 중앙 관리 + 자동 백업 스케줄링 |
| 역할 기반 접근 제어 (RBAC) | 기본 사용자만 가능 | ✅ 세밀한 권한 관리 |
| 자동화(API/PowerCLI) | 일부 기능만 지원 | ✅ 광범위한 자동화 지원 |
| 운영 편의성 | 소규모(1~2대)에 적합 | 중대형(3대 이상)에 필수 |
고급적인 기능을 사용 하기 위해서는 vCenter는 필수 입니다.
vSAN를 사용하기 위해서도 vCetner가 구축 되어져 있어야지 사용가능 합니다.
지금까지 [VMware vCenter][#1]- vCenter란?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가상화(Virtualization) > vCen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 [VMware vCenter][#6]- vCenter에 ESXi 호스트 스토리지 생성 (0) | 2025.10.11 |
|---|---|
| [VMware vCenter][#5]- vCenter에 ESXi 호스트 등록 (0) | 2025.10.11 |
| [VMware vCenter][#4]- vSAN 설정 (0) | 2025.10.07 |
| [VMware vCenter][#3]- License 등록 (0) | 2025.10.07 |
| [VMware vCenter][#2]- vCenter 설치 (0) | 2025.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