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VMware vCenter][#15]- vCenter에서 OVF 설치 - deploy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저번에 OVF파일을 내보내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1.다운로드 폴더에서 OVF 파일들을 확인 합니다. 

 

2, vCenter에 접속합니다. 

3. OVF 템플릿 배포를 클릭 합니다. 

 

4. 로컬 파일를 클릭하고 파일 업로드 버튼을 클릭합니다. 

 

5. OVF파일에 추출되었던 파일을 모두 선택하고 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6. 다음버튼을 클릭 합니다. 

 

7. 가상 시스템 이름를 입력하고 DC01을 선택하고 다음버튼을 클릭합니다. 

 

8. 192.168.110.142 호스트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9. 다음버튼을 클릭합니다. 

 

10. 첫번째 하드디스크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11. 다음버튼을 클릭합니다. 

 

12. 완료 버튼을 클릭합니다. 

 

12.아래처럼 OVF배포가 진행중에 있습니다. 완료 될때까지 기다립니다. 

 

13. OVF 템플릿 배포가 완되면 WIN10-OVF VM를 전원켜고 부팅합니다.

 

14. 웹콘솔을 클릭합니다. 

 

15. 업데이트가 완료 될때까지 기다립니다.

 

지금까지 [VMware vCenter][#15]- vCenter에서 OVF 설치 - 배포 가져오기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VMware vCenter][#14]- vCenter에서 OVF Template 사용하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OVF란?

OVF (Open Virtualization Format) 는 가상머신을 표준화된 형식으로 내보내거나 배포할 때 사용하는 포맷입니다.
즉, **“VM을 하나의 패키지로 묶은 파일 형식”**이에요. VMwrare만 사용하는게 아니라 다른 하이버바이저에서도 사용 가능한 표준탬블렛 있습니다.

 

확장자 종류

확장자                         설명

.ovf 가상머신의 구성 정보(XML 형태)
.vmdk 가상 디스크 파일 (실제 데이터 저장)
.mf 무결성 검증용 해시 정보 (SHA-1 등)
.ova 위 3개를 하나로 압축한 단일 파일 (tar 형식)

 

OVF는 폴더 형식, OVA는 “한 덩어리 파일(zip 형태)”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 OVF / OVA의 주요 용도

용도                                                        설명

VM 백업 및 이전 다른 ESXi나 vCenter로 손쉽게 이전 가능
가상 어플라이언스 배포 VMware, Fortinet, Zabbix 등에서 제공하는 .ova 이미지 설치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AWS, Azure, VirtualBox 등에서도 호환 가능
템플릿 공유 표준화된 VM 환경을 동료/고객에게 전달 가능

 

🧩 OVF vs OVA 비교

항목                            OVF                                                                       OVA

구조 여러 파일로 구성 하나의 파일로 압축
이동성 파일 여러 개 단일 파일, 배포 편리
수정성 구성 파일 수정 가능 내부 수정 불편
사용 예 개발 테스트, 내부 관리 배포용, 상용 제품 이미지

 

** OVF 탬플렛 방식은 VM이 전원이 종료되어진 상태에서 내보내기가 가능 합니다. **

 

1. vCenter에 접속합니다.

2. WIN10를 종료하고 마우스 커서 위치를 WIN10 VM에 위치한 후 마우스 오른쪽버튼을 클릭합니다.

3. 템블릿 -> OVF 템플릿 내보내기를 클릭합니다. 

 

4. 이름을 WIN10-OVF로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5. 아래처럼 OVF 내보내기가 진행이 됩니다. 

6.  다운로드창에서는 아래처럼 다운로드가 진행이 됩니다. 

7. 아래처럼 파일이 다운로드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VMware vCenter][#14]- vCenter에서 OVF Template 내보내기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VMware vCenter][#13]- vCenter에서 VM 복제하기 -Cold Clone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HOT Clone은 VM이 실행중에 복제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한개 복제가 끝날때까지 또다른 복제는 불가능 합니다.

하지만 Cold clone은 VM이 종료된 상태에서 동시에 여러개를 복제가 가능 합니다.

 

설정 방법은 동일합니다. 

VM켜져 있으면 HOT clone 복제로 동작하고 VM이 종료 되어져 있는 상태에서 복제하면 Cold Clone으로 동작합니다.

 

1. vCenter에 접속합니다.

2. VM이 종료된 상태에서 복제 -> 가상 시스템으로 복제를 클릭합니다. 

 

3. WIN10-03를 입력하고 Next버튼을 클릭합니다. 

 

4. 3번 VMware ESXi호스트를 선택하고 Next버튼을 클릭합니다. 

 

4. 2번째 스토리지를 선택하고 next버튼을 클릭합니다. 

 

5. Next버튼을 클릭합니다. 

 

6. Finish버튼을 클릭합니다. 

 

7. 아래처럼 진행중이고 WIN10-04를 하나더 복제합니다. 똑같은 방식으로 복제합니다.

 

8. 아래처럼 WIN10를  종료 된 상태에서는 복제가 여러개가 가능 합니다. 

 

아래처럼 복제가 완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VMware vCenter][#13]- vCenter에서 VM 복제하기 -Cold Clone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윈도우10 서비스가 공식적으로 2025년 10월 14일부터 종료 됩니다.

현재 윈도우10를 윕도우11로 무료 업그레이드가 가능 합니다.

 

https://itblog-kr.tistory.com/296

 

윈도우 10 서비스 종료 - EOS

안녕하세요. “Windows 10 서비스 종료”는 공식적으로 Microsoft의 지원이 끝나는 시점, 즉 보안 업데이트와 기능 업데이트가 더 이상 제공되지 않는 시점을 의미합니다. 🗓️ Windows 10 서비스(지원)

itblog-kr.tistory.com

 

PC/노트북 성능이 낮은분들은 업데이트 1년 무료 연장을 추천합니다.

https://itblog-kr.tistory.com/297

 

윈도우 10 서비스 종료 - 1년 연장 업데이트

안녕하세요. 윈도우10 서비스 2025년 10월 14일날 정식 종료 되었습니다. 하지만 1년동안 더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 윈도우10 서비스 종료에 대해서는 아래 글을 참고 부탁드립니다.https://itblog-kr.ti

itblog-kr.tistory.com

 

1. 구글에서 아래처럼 윈도우11 다운로드 검색 

 

2. 아래 링크를 클릭합니다. 

 

3. 아래처럼 지금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실행하면 무료 업그레이드가 진행됩니다. 

 

*** 기존 파일 그대로 윈도우10에서 윈도우11로 무료 업그레이드가 됩니다. ***

 

지금까지 윈도우 10 서비스 종료 - 무료 윈도우11 업그레이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윈도우10 서비스 2025년 10월 14일날 정식 종료 되었습니다. 하지만 1년동안 더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

 

윈도우10 서비스 종료에 대해서는 아래 글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https://itblog-kr.tistory.com/296

 

윈도우 10 서비스 종료 - EOS

안녕하세요. “Windows 10 서비스 종료”는 공식적으로 Microsoft의 지원이 끝나는 시점, 즉 보안 업데이트와 기능 업데이트가 더 이상 제공되지 않는 시점을 의미합니다. 🗓️ Windows 10 서비스(지원)

itblog-kr.tistory.com

 

윈도우11 무료 업그레이드를 원하시는분은 아래 블로그 참고 부탁드립니다.

https://itblog-kr.tistory.com/298

 

윈도우 10 서비스 종료 - 무료 윈도우11 업그레이드

안녕하세요. 윈도우10 서비스가 공식적으로 2025년 10월 14일부터 종료 됩니다.현재 윈도우10를 윕도우11로 무료 업그레이드가 가능 합니다. https://itblog-kr.tistory.com/296 윈도우 10 서비스 종료 - EOS안

itblog-kr.tistory.com

 

 

현재 사용중인 PC또는 노트북에 윈도우11을 업그레이드 하기에는 부족한 사양이면 보안 측면에서 1년더 윈도우10를 업데이트 하면서 사용 하는것을 추천 합니다.

 

1.  아래 검색창 또는 윈도우키를 누르고 업데이트라고 검색합니다. 그리고 업데이트 확인을 클릭합니다. 

 

2. 지금 등록을 클릭합니다. 

 

 

3. 아래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4. MS 계정 로그인창이 뜨면 로그인을 합니다. 

5. 아래처럼 등록을 버튼을 클릭합니다. 2026년 10월 13일까지 추가적으로 1년동안 업데이트 가능 합니다. 

 

6. 아래처럼 등록이 완료되었고 2026년 10월 13일까지 업데이트 가능 합니다. 

 

지금까지 윈도우 10 서비스 종료 - 1년 연장 업데이트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Windows 10 서비스 종료”는 공식적으로 Microsoft의 지원이 끝나는 시점, 즉 보안 업데이트와 기능 업데이트가 더 이상 제공되지 않는 시점을 의미합니다.

 

PC/노트북 사양이 낮으신분은 윈도우10 1년 업데이트 연장 추천합니다.

아래 블로그 참고 부탁드립니다.

https://itblog-kr.tistory.com/297

 

윈도우 10 서비스 종료 - 1년 연장 업데이트

안녕하세요. 윈도우10 서비스 2025년 10월 14일날 정식 종료 되었습니다. 하지만 1년동안 더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 윈도우10 서비스 종료에 대해서는 아래 글을 참고 부탁드립니다.https://itblog-kr.ti

itblog-kr.tistory.com

 

윈도우11 무료 업그레이드를 원하시는분은 아래 블로그 참고 부탁드립니다.

https://itblog-kr.tistory.com/298

 

윈도우 10 서비스 종료 - 무료 윈도우11 업그레이드

안녕하세요. 윈도우10 서비스가 공식적으로 2025년 10월 14일부터 종료 됩니다.현재 윈도우10를 윕도우11로 무료 업그레이드가 가능 합니다. https://itblog-kr.tistory.com/296 윈도우 10 서비스 종료 - EOS안

itblog-kr.tistory.com

 

 

 

🗓️ Windows 10 서비스(지원) 종료 일정

항목                                          내용

종료일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마지막 버전 Windows 10, 버전 22H2
대상 에디션 Home, Pro, Enterprise, Education 등 모든 에디션
제공 중단 항목 보안 업데이트, 기능 업데이트, 기술 지원

 

🔍 종료 후 발생하는 변화

항목                                                                종료 후 상태

Windows Update 더 이상 새 업데이트 없음
보안 패치 제공 중단 → 해킹, 악성코드 위험 증가
드라이버 업데이트 점차 중단됨
Microsoft Store 일정 기간은 유지되지만 점차 제한
Office, Edge 등 이후 버전부터 Windows 11 중심 지원

 

 

💡 Microsoft 공식 입장 요약

“Windows 10은 버전 22H2를 마지막으로,
2025년 10월 14일에 수명 종료(EOS, End of Support) 됩니다.”

 

 

🔐 이후 선택지

 

  • Windows 11로 업그레이드 (무료, 호환 PC만 가능)
    • TPM 2.0, Secure Boot 필요
    • 최신 보안 업데이트 지속 지원
  • 보안 연장 업데이트(ESU) 프로그램
    • 기업용 고객 대상
    • 개인 사용자는 유료 옵션으로 제공될 가능성 있음 (아직 확정 X)
  • Windows 10 계속 사용 시
    • 오프라인 또는 제한된 환경에서만 권장
    • 보안 프로그램 강화 필요 (예: 방화벽, 백신, 네트워크 차단

✅ 요약 정리

🔸 Windows 10 지원 종료일: 2025년 10월 14일
🔸 마지막 버전: 22H2
🔸 종료 후: 보안 업데이트 및 기술 지원 완전 중단
🔸 권장: Windows 11 업그레이드 또는 ESU(유료 연장) 검토

 

안녕하세요.

 

오늘은 [VMware vCenter][#11]- vCenter에서 VM 복제하기 -Clone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vCenter에 접속 합니다.

2. 복제 타켓에 마우스 커서를 위치하고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합니다. 복제 -> 가상 시스템으로 복제를 클릭 합니다. 

 

3. 가상 시스템 이름: WIN10-02을 입력합니다. 그리고 DC01를 선택하고 Next버튼을 클릭합니다. 

 

4. 저는 두번째 호스트에 VM를 복사하겠습니다. 그리고 Next버튼을 클릭 합니다. 

 

5. 4번째 스토리지를 선택하고 Next버튼을 클릭합니다. 

 

6. 아래 체크해서 HARDWARE를 변경 할수 있게 합니다. 그리고 Next버튼을 클릭 합니다. 

 

7. 수정후 Next버튼을 클릭 합니다. 

 

8. Finish버튼을 클릭합니다.

 

9. 복제가 완료 될때까지 기다립니다. 

 

10. 복제가 완료 되었습니다. 

 

11. 전원을 켭니다,. 

 

12. 아래 이미지 클릭후 웹 콘솔을 실행합니다. 

 

13. 완료 될때까지 기다립니다. 

 

14. 아래처럼 부팅이 완료 되었습니다. 

 

vCenter를 이용하면 VM를 전원을 끄지 않고 HOT-CLONE이 지원 합니다. 

** 만약에 vCenter없이 ESXi호스트로만 VM복제를 시도 하면, 전원을 끄고 복제가 가능합니다. **

 

지금까지 [VMware vCenter][#11]- vCenter에서 VM 복제하기 -Clone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VMware vCenter][#11]- vCenter에서 윈도우10 VMware Tool 설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vCenter에 접속합니다.

윈도우에 마우스커서를 위치하면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합니다.

게스트 운영체제 -> VMware Tools 설치를 클릭합니다. 


2. 마운트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여기 부분을 클릭해서 윈도우10 콘솔을 오픈합니다. 

 

4. 확인 버튼을 클릭 합니다. 

 

5. 내 PC를 열고 아래 VMware Tools를 클릭합니다. 

 

6. Next버튼을 클릭합니다. 

 

7. 다음버튼을 클릭합니다. 

 

8. 설치 버튼을 클릭합니다. 

 

9. 설치가 완료 될때까지 기다립니다. 

 

10. 마침을 클릭합니다. 

 

11. 예 버튼을 클릭해서 재부팅을 합니다. 

 

지금까지 [VMware vCenter][#11]- vCenter에서 윈도우10 VMware Tool 설치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VMware vCenter][#10]- vCenter에서 가상 스위치 보안설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구분 네트워크 생성 위치 가능 여부 설명

vCenter + DVS (Distributed Switch) vCenter에서 네트워크 생성 → 모든 ESXi에 자동 적용 ✅ 가능 vCenter의 핵심 기능 중 하나 (엔터프라이즈 라이선스 이상 필요)
vCenter + Standard Switch (vSS) 각 ESXi별 개별 설정 ⚠️ 부분 가능 vCenter에서 “호스트 단위로” 추가 가능하지만, 자동 동기화 안 됨
ESXi 단독 관리 ESXi에서 직접 네트워크 추가 ✅ 가능 vCenter 없이도 동작. 현재 구조에서는 이 방법이 안정적

 

vCenter - 192.168.110.197

ESXI 01 - 192.168.110.141

ESXI 02 - 192.168.110.142

ESXI 03 - 192.168.110.143

ESXI 04 - 192.168.110.144

 

그리고 저번 글에서 윈도우10을 vCenter를 통해서 ESXI01에 설치 하였습니다.

 

하지만 윈도우에서 아래 사진처럼 PING아 않됩니다.

 

ESXI01에서 MGMT쓰는 vSwitch랑 똑같은 PORTGROUP 그리고 vSwitch를 사용합니다.

 

ESXI01에서 ping 테스트

 

정상 동작합니다. 

 

esxi에서 확인한 결과 vSwitch0에 LAN-192.168.110.0/24 PORTGORUP에 연결되었습니다. 

 

vCenter에서 윈도우10 네트워크 확인결과 VM Network이라고만 표시됨.

 

ESXI1호기에서 vSiwtch0편집을 클릭후 보안에서 

모두 동의로 변경후 윈도우10에 보면 정상적으로 인터넷 동작합니다. 

 

 

지금까지 [VMware vCenter][#10]- vCenter에서 가상 스위치 보안설정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VMware vCenter][#8]- vCenter에서 WIN10 설치하기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vCenter에 접속합니다.

2. 전원 버튼을 클릭 합니다. 

 

3. 이 화면을 클릭 합니다. 

 

4. 웹 콘솔을 클릭후 확인 버튼을 클릭 합니다. 

 

5. 다음버튼을 클릭합니다.

 

6. 지금 설치를 클릭 합니다.

 

7. 제품키가 없음을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8. 윈도우 10 프로를 선택하고 아래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9. 동의함 클릭후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10. 윈도우 설치 고급을 클릭합니다. 

 

11. 다음버튼을 클릭합니다. 

 

12. 설치가 완료 될때까지 기다립니다. 

 

13. 자동으로 재시작 됩니다. 

 

14. 지역 한국 선택후 예 버튼을 클릭합니다.

 

15. 예 버튼을 클릭합니다. 

 

16. 건너뛰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17. 인터넷없음을 클릭합니다.

 

18. 제한된 설치로 계속

 

19 test유저를 클릭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20.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다음버튼을 클릭합니다.

 

21. 암호를 다시 입력하고 다음버튼을 클릭합니다.

 

22. 아니요 - 수락버튼을 클릭합니다. 

 

23. 설치가 진행중입니다. 잠시 기다립니다. 

 

24.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VMware vCenter][#9]- vCenter에서 WIN10 설치하기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VMware vCenter][#8]- vCenter에서 VM 생성하기에 대해서 다루겠습니다. 

 

1. vCenter에 접속 하고 로그인 합니다.

2. 새 가상 시스템을 클릭 합니다. 

 

3.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4. 가상 시스템 이름: WIN10 선택후 Next버튼을 클릭 합니다. 

 

5. 호스트를 선택하고 Next버튼을 클릭 합니다. 

 

6. 스토리지를 선택하고 Next버튼을 클릭합니다. 

7. Next버튼을 클릭 합니다. 

 

8. 윈도우10를 선택하고 Next버튼을 클릭 합니다. 

 

9. CPU랑 메모리 하드디스크 용량 선택후 새 CD/DVD 드라이브 -> 데이터스토어 ISO파일 선택합니다.

 

9. 파일을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10. 아래 처럼 연결을 클릭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11.  Finish 버튼을 클릭 합니다. 

 

12. WIN10 VM이 생성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VMware vCenter][#8]- vCenter에서 VM 생성하기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VMware vCenter][#7]- vCenter에 HOST에서 ISO파일 업로드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vCenter에 접속 합니다.  Host IP선택 -> 데이터스토어 -> Datastore1를 선택합니다. 

 

2. 그리고 파일 업로드를 클릭 합니다. 

 

3. 윈도우10 ISO파일을 업로드 해보겠습니다. 

 

4. 아래 창으로 보시면 업로드중을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5. 완료되면 아래처럼 파일이 보입니다. 

지금까지 [VMware vCenter][#7]- vCenter에 HOST에서 ISO파일 업로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VMware vCenter][#5]- vCenter에 ESXi 호스트 스토리지 생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vCenter에 로그인 합니다. 

ESXi 호스트를 vCenter에 등록하면 데이터스토리 부분을 설정 해야지 VM생성이 가능 합니다. 

 

2. 아래처럼 HOST에 오른쪽 마우스 클릭후 스토리지 -> 새 데이터스토어 클릭합니다. 

 

3. 로컬디스크를 사용할 예정이라서 VMFS선택후 다음버튼을 클릭합니다.

 

vMotion/HA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토리지가 NFS/SMB/iSICI 또는 SAN 스위치 스토리지에 연결되어서 연동 되어야 합니다.

이 부분은 나중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4. datastore1를 선택하고 아래 로컬 디스크를 선택한 다음에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5. 설정 변경없이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6. 설정 변경없이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7. 완료 버튼을 클릭 합니다. 

 

8. 등록 되었습니다. 로컬디스크가 한개 더 있습니다. 똑같은 방식으로 한개 더 등록 합니다. 

 

9. 이렇게 2개 스토리지를 HOST 192.168.110.141에 등록 하였습니다. 

 

10. 나머지 호스트도 똑같이 등록 합니다.

 

 

지금까지 [VMware vCenter][#6]- vCenter에 ESXi 호스트 스토리지 생성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VMware vCenter][#5]- vCenter에 ESXi 호스 등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VMware ESXi 1호기 - 192.168.110.141

VMware ESXi 1호기 - 192.168.110.142

VMware ESXi 1호기 - 192.168.110.143

VMware ESXi 1호기 - 192.168.110.144

 

vCenter 1호기 - 192.168.110.197

 

ESXi 처음 설치 하면 Enterprise Plus 60일동안 평가판으로 사용 할수 있고 vCenter도 똑같이 60일 동안 평가판으로 사용 할수 있습니다. 

 

1. vCenter에 접속 합니다.

192.168.110.197

 

ID/PASS를 입력합니다. 

 

2. 아래처럼 정상적으로 로그인 되었고, 현재 아무것도 설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래처럼 보입니다. 

 

3. 새 데이터 센터를 클릭 합니다. 

 

4. 이름에 DC01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 합니다. 

 

5. DC01

 

6. DC01에 마우스를 위치하고 오른쪽 마우크를 클릭후 호스트 추가를 클릭 합니다. 

 

7. 아래처럼 ESXi 호스트 IP주소를 입력 합니다. 

 

8.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9.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10. 라이센스는 평가판 라이센스를 선택합니다.

 

11. 수정없이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12.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13. 완료 버튼을 클릭 합니다.

 

14. 아래처럼 VMware ESXi 호스트 한대가 등록 되었습니다. 

 

15. 똑같은 방식으로 3대더 추가 합니다. 총 4대를 등록 하였습니다. 

 

지금까지 [VMware vCenter][#5]- vCenter에 ESXi 호스 등록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구성도는 클러스터 없이 그냥 vCenter에 ESXi 호스트를 등록하고 관리 하기 위함입니다. 이렇게 구성하면 로컬 디스크를 사용해야하기 떄문에 vMosion HA 기타등등 제대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VMware vCenter][#4]- vSAN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vCenter에 접속합니다. 

2. 새 데이터센터를 클릭합니다. 

 

3. 이름을 Datacenter01로 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 합니다. 

 

4. 아래 새 클러스터를 클릭합니다. 

 

5. 아래처럼 설정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6. 완료 버튼을 클릭합니다. 

 

7. 아래 경로에서 클러스터 기본 설정은 위에서 완료 했고, 호스트를 추가를 합니다. 

아래 추가 버튼을 클릭 합니다. 

 

8. 저는 호스트가 4대가 있어서 아래처럼 등록하고 로그인 정보를 입력 하였습니다. 그리고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9. 신뢰하지 않는 인증서 떄문에 아래 같이 경고 메시지가 발생합니다.

무시하고 아래처럼 체크 한다음에 확인 버튼을 클릭 합니다. 

 

10.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11, 완료 버튼을 클릭 합니다. 

 

12. 호스트가 등록 되었고 유지보수 모드로 동작합니다. 마저 클러스터 구성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클러스터 구성버튼을 클릭 합니다. 

 

13. 아래처럼 나중에 네트워킹 설정 구성을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14.

 

아래처럼 NTP서버 주소를 입력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설정값 변경없이 나머지는 디폴트값 유

 

15. host가 가지고 있는 모든 디스크가 표시 됩니다. 그리고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host 별로 100G *2 가 있습니다. 

꼭 host별로 한개 디스크는 캐시 계층으로 선택되어야 합니다. 

 

16.  아래 2개 항목 체크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17. 완료 버튼을 클릭 합니다. 

 

18. 클러스터 구성중에 있습니다. 완료 될때까지 기다립니다.

 

11. vSAN 관련 랜카드를 생성해야합니다.

모든 호스트에 접속해서 랜카드 생성해야 합니다. 

 

첫번째 호스트 선택 -> 구성 -> VMknerrel 어댑터 선택 -> 네트워킹 추가 버튼을 클릭 합니다. 

 

12.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13. 기존 표준 스위치 선택 -> 찾아보기 -> vSwitch0선택

분리하고 싶으면 새 표준 스위치에 분리 가능

 

14. 아래처럼 vSAN 입력하고 vSAN에 체크 박스하고 Next버튼을 클릭 합니다. 

 

15.

 

안녕하세요.

 

오늘은 [VMware vCenter][#3]- License 등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아래 IP선택 -> 구성 -> 라이센스를 클릭해보면 아래처럼 평가판을 사용중에 있습니다.

라이센스 할당을 클릭합니다. 

 

2. 새 라이센스를 클릭합니다. 

3.라이센스 키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4. 아래처럼 라이센스가 정상적으로 등록되어 동작합니다. 

 

지금까지 [VMware vCenter][#3]- License 등록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윈도우 2025를 ISO 다운로드를 받아보겠습니다.

 

1. google에서 아래처럼 검색합니다.

윈도우서버 2025 다운로드

 

그리고 아래 링크를 클릭합니다. 
https://www.microsoft.com/ko-kr/evalcenter/download-windows-server-2025

 

Microsoft Evaluation Center | Windows Server 2025

Windows Server 2025는 현대화되고 미래에 대비한 플랫폼에 차세대 보안 개선 사항 및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기능을 제공합니다.

www.microsoft.com

 

2. 아래 ISO다운로드 링크를 클릭해서 다운로드를 받습니다.

 

3. 다운로드가 완료 될때까지 기다립니디. 

 

지금까지 windows server 2025 다운로드 받기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VMware vCenter][#2]- vCenter 설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전에는 윈도우서버에 vCenter를 설치 했었지만 요새는 VMware ESXi안에 설치를 합니다. 

 

1. vCetner를 VMware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습니다. 다운로드 가정은 생략

 

2. iso파일을 컴퓨터에 마운트 합니다.

 

3. 아래 경로로 접속후, installer 파일을 클릭 합니다. 

 

4. Install 버튼을 클릭 합니다. 

 

5. Next버튼을 클릭합니다.

 

6. I accept the terms of the license agreement.체크후 Next 버튼을 클릭 합니다.

 

7. vCenter는 ESXi안에 설치 되기 떄문에, 아래 처럼 ESXi IP주소랑 계정 정보를 입력하고 Next버튼을 클릭 합니다. 

 

8. 인증서 경고창이 표시 되더라도 무시하고 Yes 버튼을 클릭합니다.

 

9. vCenter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Next버튼을 클릭 합니다. 

 

10. 관리해야하는 ESXi서버가 별루 없어서 최소로 설치할 예정입니다. 변경없이 Next버튼을 클릭합니다.

 

11. Enable Thin Disk Mode 

Thin은 100G이더라도 사용하는 만큼 디스크를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Thick은 100G이면 처음부터 통으로 100G 디스크용량을 할당합니다. 

 

디스크용량을 아끼기 위해서 Thin를 사용 합니다. 

 

12. IP주소를 입력합니다. 

NETWORK - ESXi Portgroup선택

IP assignment -Static

IP: 192.168.110.160

Subnet Mask: 255.255.255.0

GW: 192.168.110.1

DNS: 8.8.8.8

 

13. Finish 버튼을 클릭해서 설치를 진행 합니다. 

14. 설치가 완료 될때까지 기다립니다.

 

15. Stage1설치가 완료 되었고 Stage2설치하기 위해서 Continue버튼을 클릭합니다. 

 

16. Next버튼을 클릭합니다.

 

17. 아래처럼 설정합니다. 그리고 Next버튼을 클릭 합니다. 

 

18.아래처럼 SSO domain를 vsphere.local로 생성하고 administrator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SSO뜻 single sign-on - 한번의 로그인으로 다른 사이트들을 자동으로 접속하여 이용하는 방법

 

19. Next버튼을 클릭합니다. 

 

20.Finish버튼을 클릭해서 설치를 진행합니다.

 

21. 인증서 경고창 무시하고 OK버튼을 클릭합니다. 

 

22. 설치가 완료 될때까지 기다립니다. 

 

23. 설치가 완료 되면 아래처럼 로그인 정보를 입력합니다.

 

24. 아래처럼 로그인이 완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VMware vCenter][#2]- vCenter 설치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VMware vCenter][#1]- vCenter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VMware vCenter는 **VMware vSphere 환경(ESXi 호스트 + 가상머신들)**을 중앙에서 관리하기 위한 통합 관리 서버입니다.
즉, 여러 개의 ESXi 서버를 효율적으로 운영·관리하기 위한 "관리 콘솔" 역할을 합니다.

 

구분 설명

1. 중앙 관리 (Centralized Management) 여러 대의 ESXi 호스트와 그 위의 가상머신(VM)을 한 곳에서 관리.
2. 자원 통합 (Resource Pooling) CPU, 메모리, 스토리지, 네트워크 자원을 묶어서 여러 VM에 효율적으로 분배.
3. 고가용성 (vSphere HA) ESXi 호스트가 다운되어도 VM이 자동으로 다른 호스트에서 재시작.
4. 무중단 서비스 (vMotion) VM을 다운 없이 다른 ESXi 호스트로 실시간 이동 가능.
5. 클러스터 관리 (Cluster Management) 여러 ESXi 호스트를 하나의 클러스터로 묶어 부하 분산(DRS) 및 HA 구현.
6. 백업 및 스냅샷 관리 가상머신 상태를 스냅샷으로 저장하거나 백업 관리.
7. 템플릿 & 자동 배포 표준 VM 템플릿을 만들어 빠른 신규 서버 배포 가능.
8. 접근 제어 및 감사 (RBAC, Audit) 사용자별 권한 제어 및 이벤트/로그 관리.
9. API / 자동화 지원 PowerCLI, REST API 등으로 자동화 스크립트 및 외부 시스템 연동.

 

실제 사용 예시. 

 

  • IDC나 사내 서버실에 ESXi 5~10대 이상 운영할 때 vCenter로 통합 관리
  • HA + vMotion + DRS로 무중단 유지보수 및 성능 자동 분산
  • 백업 솔루션(Veeam 등) 연동 시 필수적으로 vCenter 정보 사용

구분 단독 ESXi vCenter 환경 (vSphere)

관리 범위 한 대의 ESXi만 관리 여러 대의 ESXi를 중앙에서 통합 관리
접속 방식 직접 ESXi 웹(https://ESXi-IP/ui)로 접속 vCenter 웹 콘솔 (https://vcenter-FQDN/ui)
vMotion / DRS / HA ❌ 불가능 ✅ 가능 (클러스터 구성 시)
자원 풀(Resource Pool) ❌ 불가능 ✅ 가능
템플릿 배포 / 클론 생성 제한적 ✅ 완전 지원
백업 연동 (Veeam, Nakivo 등) 단일 호스트 기준 ✅ 중앙 관리 + 자동 백업 스케줄링
역할 기반 접근 제어 (RBAC) 기본 사용자만 가능 ✅ 세밀한 권한 관리
자동화(API/PowerCLI) 일부 기능만 지원 ✅ 광범위한 자동화 지원
운영 편의성 소규모(1~2대)에 적합 중대형(3대 이상)에 필수

 

 

고급적인 기능을 사용 하기 위해서는 vCenter는 필수 입니다.

vSAN를 사용하기 위해서도 vCetner가 구축 되어져 있어야지 사용가능 합니다. 

 

지금까지 [VMware vCenter][#1]- vCenter란?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Proxmox 설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개인 서버용 VMware ESXi 있어서 여기에 설치해서 테스트 해보겠습니다. 

서버 조립 관련 글을 아래 글을 확인 부탁드립니다.

https://itblog-kr.tistory.com/243

 

[VMware ESXi][#2]- HOME-LAB ESXi 서버 조립

안녕하세요. EVE-NG 또는 PNETLAB 설치 하기 위해서 HOME-LAB ESXi 서버를 조립 했습니다. 다나와 가격 기준 입니다. CPU: AMD 9700X 48만원쿨러: 기본 쿨러메인보드: 기가바이트 B650M K 제이씨현 14만원RAM: 96G

itblog-kr.tistory.com

 

 

Proxmox가 무엇인지 궁금하신 분은 이전 글을 확인 부탁드립니다. 

https://itblog-kr.tistory.com/281

 

[Proxmox][#1]- Proxmox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Proxmox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Proxmox VE (Virtual Environment) 는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으로, 쉽게 말하면 VMware vSphere/ESXi 같은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를 대체할 수 있는 솔루

itblog-kr.tistory.com

1.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 합니다. 

https://www.proxmox.com/en/

 

Proxmox Server Solutions

Proxmox develops powerful and efficient open-source server solutions like the Proxmox VE platform, Proxmox Backup Server, and Proxmox Mail Gateway.

www.proxmox.com

 

2. Download 클릭 -> Proxmox Virtual Environment 클릭 -> Proxmox VE 9.0 ISO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현재 기준으로 최신 버전은 Proxmox VE 9.0 입니다. 

 

3. 다운로드가 완료 될때까지 기다립니다.

 

4. VMware ESXi에 접속해서 ISO파일을 ISO폴더에 업로드 합니다.

Proxmox9폴더를 만들고 -> 업로드 버튼을 클릭한다음에, ISO파일을 선택해서 업로드 합니다. 

 

파일이 업로드 되면 아래사진처럼 파일이 표시 됩니다.

 

5. 이제 Proxmox를 VMware ESXi안에 설치해보겠습니다. 

5-1 호스트 -> 가상 시스템 -> VM 생성/등록 버튼을 클릭 합니다. 

 

5-2 새 가상 시스템 생성을 클릭후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5-3 아래처럼 설정합니다.

이름: PROXMOX_VE9_SVR01 - 다른 이름을 선택 하셔도 됩니다.

호환성: 사용중인 VMware ESXi버전을 선택합니다.

운영체제 제품군: Linux

게스트 운영체제 버전: PROXMOX는 데비안을 사용해서 개발된 제품군 입니다. 데비안 11 64비트를 선택 합니다. 

 

5-4 여유있는 store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5-5 아래처럼 설정합니다.

 

CPU는 적당히 주고 하드웨어 가상화에 V를 꼭 체크 합니다. 

이 부분이 V가 체크가 없으면 PROXMOX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가상화 기능을 CPU에서 활성화 하지 않았기 떄문입니다. 

 

메모리랑 하드디스크를 적당히 선택하고 사용중인 네트워크 어탭터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CD/DVD를 다운로드 받았고 VMWare ESXi Store업로드 했던 PROXMOX_VE9폴더에서 ISO파일을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5-6 그리고 완료 버튼을 클릭 합니다.

6. 실행합니다.

 

7. Install Proxmox VE (Graphical)를 클릭 합니다. 

 

8. I agree 버튼을 클릭 합니다. 

 

9. 기본 설정값을 그대로 두고 Next버튼을 클릭 합니다. 

10. Country를 선택하고 Time Zone를 선택하고 Next버튼을 클릭 합니다. 

11. 아래처럼 hostname이랑 IP정보를 입력하고 Next버튼을 클릭 합니다.

12. 설치가 진행되고 자동으로 부팅이 됩니다.

 

13. https://192.168.110.195:8006 으로 접속합니다.

 

14. 로그인이 완료 되면 아래처럼 GUI를 보실수 있습니다.

 

[Proxmox][#2]- Proxmox VE9설치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가상화(Virtualization) > Proxmox'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xmox][#1]- Proxmox란 무엇인가요?  (0) 2025.09.14

안녕하세요.

 

오늘은 Proxmox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Proxmox VE (Virtual Environment)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으로, 쉽게 말하면 VMware vSphere/ESXi 같은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를 대체할 수 있는 솔루션입니다.
기업용 기능도 포함하고 있지만 무료로 사용 가능하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에요.

 

주요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두 가지 가상화 지원

  • KVM (Kernel-based Virtual Machine) → Windows, Linux 등 일반 OS 가상머신 실행
  • LXC (Linux Containers) → 가볍고 빠른 컨테이너 방식 (Docker보다 OS 레벨에 가까움

2. 웹 기반 관리 UI 제공

 

  • 브라우저에서 VM 생성, 스토리지 관리, 네트워크 설정 가능
  • 별도의 관리 프로그램 설치할 필요 없음

3. 클러스터 구성 지원

 

  • Proxmox 서버 여러 대를 묶어서 하나의 클러스터로 관리
  • VM을 서버 간 Live Migration(실시간 이동) 가능

4. 스토리지 통합

 

  • 로컬 디스크, NFS, iSCSI, Ceph, ZFS 등 다양한 스토리지를 지원
  • 스냅샷, 백업, 복제 기능 내장

5. 백업 & 복구

 

  • Proxmox Backup Server (PBS)와 연동해서 효율적인 백업/복구 가능
  • VM 단위 스냅샷 및 증분 백업 지원

6. 무료 + 상용 지원

 

  • 기본은 무료 (오픈소스)
  • 안정된 업데이트 채널이나 엔터프라이즈 지원이 필요하면 유료 서브스크립션 가능

** 유료로 사용 할수 있는 다른 벤더사에 제품군은 아래와 같습니다. **

VMware ESXi 

Microsoft Hyper-V

Citrix XenServer 

등 유로 버전은 있습니다. 

 

하지만 Promox는 오픈소스 기반에서 동작하고 무료로 대부분 기능들을 사용 할수 있습니다. 

 

버전 업데이트 채널 보안 패치 기술 지원 용도에서만 subscription방식으로 지원 받을수 있습니다. 

 

 

  • Enterprise Subscription
    • 가장 안정적인 업데이트 채널 (Enterprise Repository) 접근 가능
    • 보안 패치 및 안정화된 패키지 제공
    • 기술 지원 포함
    • 기업에서 실제 운영 환경에 가장 많이 사용
  • Standard Subscription
    • 안정적인 업데이트 채널 제공
    • 보안 패치 포함
    • 기술 지원 수준은 Enterprise보다 낮음
  • Basic Subscription
    • 업데이트 채널 제공 (Enterprise Repository)
    • 보안 패치 포함
    • 기술 지원은 이메일 정도 (제한적)
  • Community Subscription
    • 가장 저렴한 유료 플랜
    • 업데이트 채널 접근 가능
    • 공식 기술 지원은 거의 없음 (커뮤니티 포럼 중심)

 

간략하게 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버전                             업데이트 채널                                    보안 패치    기술                        지원용도
Enterprise 안정 (Enterprise Repo) 포함 정식 지원 운영 환경
Standard 안정 포함 일부 지원 중소기업
Basic 안정 포함 제한적 지원 테스트 + 소규모 운영
Community 안정 포함 거의 없음 개인/학습용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무료 버전: 모든 기능 사용 가능, 다만 No-Subscription Repo 만 사용 (업데이트 안정성이 낮음).
  • 유료 버전 (Subscription): 같은 Proxmox라도 안정 채널 + 기술 지원 제공.

Proxmox VE의 유료 서브스크립션 가격은 CPU 소켓당 연간 요금으로 책정되며, 각 플랜은 지원 수준과 기능에 따라 다릅니다. 아래는 2025년 기준으로 공식 웹사이트에 명시된 가격 정보입니다.

 

Proxmox VE 유료 서브스크립션 가격 (2025년 기준)

플랜             연간 요금 (USD)    지원 티켓 수     응답 시간              주요 특징
Premium 약 $1,178 무제한 영업일 기준 2시간 이내 엔터프라이즈 레포지토리 접근, 원격 지원(SSH), 오프라인 키 활성화 등
Standard
약 $578 연 10회 영업일 기준 4시간 이내 엔터프라이즈 레포지토리 접근, 원격 지원(SSH), 오프라인 키 활성화 등
Basic 약 $387 연 3회 영업일 기준 1일 이내 엔터프라이즈 레포지토리 접근, 원격 지원(SSH), 오프라인 키 활성화 등
Community 약 $124 커뮤니티 지원 - 엔터프라이즈 레포지토리 접근, 커뮤니티 지원 (기타 지원 없음)

 

간단한 요약은 아래와 같습니다. 

 

  • Premium: 가장 높은 지원 수준과 빠른 응답 시간을 제공하며, 엔터프라이즈 환경에 적합합니다.
  • Standard: 일반적인 기업 환경에 적합하며, 충분한 지원과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 Basic: 소규모 기업이나 테스트 환경에 적합하며, 제한된 지원을 제공합니다.
  • Community: 가장 저렴한 플랜으로, 커뮤니티 기반의 지원만 제공되며, 개인 학습용이나 실험적인 환경에 적합합니다.
지금까지 [Proxmox][#1]- Proxmox란 무엇인가요?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가상화(Virtualization) > Proxmox'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xmox][#2]- Proxmox VE9설치  (0) 2025.09.14

안녕하세요.

 

오늘은 C9800 이중화 디자인에서 설명하겠습니다.

 

1, 9800WLC 디자인 부분. 

 

2. 9800 WLC를 VMware 또는 다른 하이퍼바이저에 설정할 경우. 

 

3.  V

 

WLC 9800 설정하는 방법.

https://www.youtube.com/watch?v=2bheYoFQMgo

 

지금까지 [C9800CL][#20]- 이중화 디자인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Cisco ASA VPN License를 설치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Cisco Version는 아래와 같습니다.

 

asa# show version

Cisco Adaptive Security Appliance Software Version 9.20(3)20
SSP Operating System Version 2.14(2.121)

현재 고객사에서 cisco FPR3105를 ASA reimage해서 사용중에 있습니다.

아래처럼 FPR3105 Base License는 전에 등록하였고, 이번에는 VPN License를 등록해보겠습니다.

 

Smart 라이센스에서 등록하는 방법은 똑같습니다.

 

1. 토근을 생성하기위해서 아래처럼 Device -> Token Management를 클릭 합니다. 

 

2. 아래처럼 Generate a token버튼을 클릭 합니다. 

 

3. 아래처럼 입력하고 Next버튼을 클릭 합니다. 

 

4. 아래처럼 토근이 생성 되었습니다.

아래 Token name에 햄버거 버튼을 클릭해서 Token 값을 복사 합니다. 

5. Cisco ASA를 콘솔또는 SSH 접속 합니다. 

 

id_token에 위에 복사한값을 붙여넣기 하고 Enter를 클릭 합니다. 

license smart register idtoken id_token [force]

 

6. 하지만 아무런 반응이 없습니다.

이유는 cisco ASA에서 dns를 설정해야지 domain으로 tools.cisco.com 또는 cisco license portal에 접속 가능 합니다

asa/act/pri(config)# dns domain-lookup untrust
asa/act/pri(config)# dns server-group DefaultDNS
asa/act/pri(config-dns-server-group)# name-server 8.8.8.8
asa/act/pri(config-dns-server-group)# end

asa/act/pri# ping google.com
Type escape sequence to abort.
Sending 5, 100-byte ICMP Echos to 142.251.12.100, timeout is 2 seconds:
!!!!!
Success rate is 100 percent (5/5), round-trip min/avg/max = 1/6/10 ms
asa/act/pri#
asa/act/pri#
asa/act/pri# ping tools.cisco.com
Type escape sequence to abort.
Sending 5, 100-byte ICMP Echos to 72.163.4.38, timeout is 2 seconds:
!!!!!

 

 

7. 똑같이 라이센스를 강제로 다시 한번 등록 합니다

license smart register idtoken id_token [force]

 

안녕하세요.

 

https://www.cisco.com/c/en/us/td/docs/switches/lan/catalyst_slr/b-169-9000-series-SLR-cg/b-169-9000-series-SLR-cg_chapter_00.html

 

Specific License Reservation - Specific License Reservation [Support]

Specific License Reservation

www.cisco.com

 

enable


license smart reservation request [all | local]

Example:
Device# license smart reservation request local
Enter this request code in the Cisco Smart Software Manager portal:
CP-ZC9300-24U:FCW2125L046-AK9A6sMTr-47

 

Device> enable
Device# show license reservation
Overall status:
  Active: PID:C9300-24U,SN:FCW2125L046
    License reservation: ENABLED
      Reservation status: RESERVATION IN PROGRESS on Jun 12 15:36:04 2018 UTC
      Export-Controlled Functionality: Not Allowed
      Request code: CP-ZC9300-24U:FCW2125L046-AK9A6sMTr-47

 

 

 

 

 

위에처럼 Download as File버튼을 클릭 합니다.

 

USB에 파일을 저장하고 9200CX 스위치에 연결 합니다.

BG148HN2#dir usbflash0: | in Auth
318     -rwx             1178  Jun 19 2025 18:28:36 +08:00  AuthorizationCode_SN_XXX.txt

 

라이센스 파일을 flash에 저장 합니다

BG148HN2#copy usbflash0:AuthorizationCode_SN_XXX.txt flash:

 

라이센스 설치

아래처럼 라이센스가 정상적으로 설치 되었습니다. 

BG148HN2#license smart reservation install fil
BG148HN2#$tion install file flash:AuthorizationCode_SN_XXX.txt
Reservation install file successful
Last Confirmation code UDI: PID:C9200CX-12T-2X2G,SN:XXXXXX
    Confirmation code: XXXXXX

 

라이센스가 정상적으로 설치 되었는지 다시 한번 확인 합니다.

BG148HN2#show license reservation
Overall status:
  Active: PID:C9200CX-12T-2X2G,SN:XXXXX
      Status: SPECIFIC INSTALLED on Jun 19 10:32:32 2025 SGT
      Last Confirmation code: XXXX

Specified license reservations:
  C9200CX DNA Essentials - 12 Ports (C9200CX_DNA_E_12):
    Description: C9200CX Compact 12 Port DNA Essentials License
    Total reserved count: 1
    Enforcement type: NOT ENFORCED
    Term information:
      Active: PID:C9200CX-12T-2X2G,SN:XXXXX
        Authorization type: SPECIFIC INSTALLED on Jun 19 10:32:32 2025 SGT
        License type: TERM
          Start Date: 2025-APR-05 UTC
          End Date: 2028-APR-04 UTC
          Term Count: 1
  C9200CX Network Essentials - 12 Ports (C9200CX_NW_E_12):
    Description: C9200CX Compact 12 Port Network Essentials License
    Total reserved count: 1
    Enforcement type: NOT ENFORCED
    Term information:
      Active: PID:C9200CX-12T-2X2G,SN: XXXXX
        Authorization type: SPECIFIC INSTALLED on Jun 19 10:32:32 2025 SGT
        License type: PERPETUAL
          Term Count: 1

 

지금까지 [9200CX]-offline smart license install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C9200CX 패스워드 리커버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콘솔케이블을 연결하고 아래처럼 버튼을 누르고 있습니다. 그리고 재부팅 합니다. 

 

 

BG148HN2>
Initializing Hardware...

System Bootstrap, Version 17.14.1r [FC1], RELEASE SOFTWARE (P)
Compiled Fri 12/15/2023 14:15:51 by rel

Current ROMMON image : Primary
C9200CX-12T-2X2G platform with 4194304 Kbytes of main memory

boot: attempting to boot from [flash:packages.conf]
boot: reading file packages.conf

boot: failed to load flash:/user/packages.conf (Aborted)

ERROR: failed to boot from flash:packages.conf (Aborted)
switch:

 

SWITCH_IGNORE_STARTUP_CFG=1
boot flash:packages.conf

switch: SWITCH_IGNORE_STARTUP_CFG=1
switch: boot flash:packages.conf
boot: attempting to boot from [flash:packages.conf]
boot: reading file packages.conf

##############


Switch>
Switch>
Switch>en
Switch#copy stat
Switch#copy sta
Switch#copy startup-config run
Switch#copy startup-config running-config
Destination filename [running-config]?
14082 bytes copied in 4.184 secs (3366 bytes/sec)
CISCO#

Cisco(config)#username cisco privilege 15 secret cisco1234^^
Cisco(config)#
Cisco(config)#
Cisco(config)#en
Cisco(config)#ena
Cisco(config)#enable se
Cisco(config)#enable secret cisco1234^^

Cisco#wr

 

그리고 다시 아래 버튼을 클릭 한다음에, 스위치를 재부팅 합니다.

 

Initializing Hardware...

System Bootstrap, Version 17.14.1r [FC1], RELEASE SOFTWARE (P)
Compiled Fri 12/15/2023 14:15:51 by rel

Current ROMMON image : Primary
C9200CX-12T-2X2G platform with 4194304 Kbytes of main memory

boot: attempting to boot from [flash:packages.conf]
boot: reading file packages.conf

boot: failed to load flash:/user/packages.conf (Aborted)

ERROR: failed to boot from flash:packages.conf (Aborted)
switch:

 

SWITCH_IGNORE_STARTUP_CFG=0
boot flash:packages.conf

 

Warning: adding member GigabitEthernet1/1/2 without policy will cause inconsistency with port GigabitEthernet1/1/1 in ether channel 1.


Press RETURN to get started!


Cisco>
Cisco>
Cisco>en
Password:
Cisco#
Cisco#
Cisco#

 

지금까지 [C9200CX]-Password Recovery - 패스워드 리커버리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무선 일반 인증 방식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분류 기준 예시 방식 보안 수준 사용 환경

개인용(Personal) WPA2-PSK, WPA3-SAE 중~상 가정, 소규모 사무실
기업용(Enterprise) WPA2-EAP, WPA3-EAP (→ 802.1X 기반) 기업, 공공기관 등
개방형(Open) Open SSID (암호 없음) 낮음 공공 Wi-Fi, 게스트
캡티브 포털 기반 웹 인증 (호텔, 카페 등) 낮음~중 상업용 게스트 네트워크
MAC 인증 MAC 주소 기반 인증 낮음 제한된 장치 제어

 

주요 무선 인증 방식 설명

1. Open (개방형) 인증

  • SSID 연결 시 암호 없이 접속
  • ❌ 데이터 전송 암호화 없음 (보안 취약)
  • 💡 공공 장소에서 흔히 사용됨 (카페, 공항 등)
  • ✳️ 종종 캡티브 포털과 함께 사용됨

2. WPA2-PSK (Pre-Shared Key)

  • ✅ 접속 시 공통 암호 입력
  • 🔐 AES 기반 암호화 (보안 양호)
  • 🙋‍♂️ 모든 사용자가 같은 암호를 사용
  • ⚠️ 암호 유출 시 전체 보안 무력화
  • 사용 예: 가정용 공유기, 소규모 사무실

3. WPA3-SAE (Simultaneous Authentication of Equals)

  • ✅ WPA2-PSK보다 향상된 보안
  • ❌ 구형 기기 호환 어려움 (WPA3 지원 필요)
  • 🔐 개별 연결마다 고유 암호키 생성 → 오프라인 브루트포스 공격 방지
  • 사용 예: 최신 공유기, 보안 우선 환경

4. MAC 인증 (MAC Authentication Bypass, MAB)

  • ✅ RADIUS 서버 또는 WLC에서 기기 MAC 주소로 인증
  • ❌ 보안성 낮음 (MAC 주소 위조 가능)
  • 💡 무선 프린터, IoT, 등록된 장치 등에 사용

5. 캡티브 포털 인증 (Web Portal Auth)

  • ✅ 접속 시 웹페이지 리디렉션 후 로그인 (ID/PW 입력)
  • ❌ 무선 자체는 암호화되지 않음 (Open + 웹 인증)
  • 💡 호텔, 공공 와이파이, 카페 등에서 흔히 사용
  • ✳️ 종종 광고 페이지 또는 일회성 비밀번호 제공

** 보안 수준 비교 **

 

인증 방식 암호화 인증 주체 보안성 비고

Open ❌ 없음 없음 매우 낮음 캡티브 포털과 조합 가능
WPA2-PSK ✅ 있음 공통 암호 보통 암호 공유 관리 필요
WPA3-SAE ✅ 있음 공통 암호(강화) 높음 최신 기기 필요
802.1X (EAP) ✅ 있음 사용자/기기 인증 매우 높음 기업용 표준
MAC 인증 ❌ 없음 MAC 주소 낮음 IoT/간단 제어용
Captive Portal ❌ 또는 ✅ 웹 로그인 낮음~중 추가 인증에 사용됨

 

환경 추천 인증 방식

가정용 WPA2-PSK 또는 WPA3-SAE
소규모 사무실 WPA2-PSK, 게스트용은 Captive Portal
기업(보안 중요) WPA2/WPA3 Enterprise (802.1X)
공공 와이파이 Open + Captive Portal
IoT 또는 단말 인증용 MAC 인증 + VLAN 격리

 

지금까지 [C9800CL][#19]- 무선 일반 인증 방식 종류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무선 802,1x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EAP-TLS (Transport Layer Security)

  • 인증 방식: 클라이언트와 서버 모두 디지털 인증서 사용
  • 보안성: ★★★★★ (가장 강력)
  • 사용 예: 보안이 중요한 기업, 정부, 금융기관
  • 장점:
    • 상호 인증 (서버 + 클라이언트)
    • 패스워드 노출 위험 없음
  • 단점:
    • 인증서 기반이므로 CA 서버, 인증서 배포 관리 필요
  • 요구 사항:
    • 클라이언트 인증서, 서버 인증서, RADIUS

2. PEAP (Protected EAP) + MSCHAPv2

  • 인증 방식: 서버는 인증서 사용, 클라이언트는 ID/PW 입력
  • 보안성: ★★★★☆
  • 사용 예: 사무실 환경, 인증서 관리가 어려운 기업
  • 장점:
    • 클라이언트 인증서 필요 없음
    • 윈도우 내장 지원
  • 단점:
    • 비밀번호 기반 (패스워드 추측 공격 가능)
  • 요구 사항:
    • 서버 인증서, 사용자 계정 (AD 또는 RADIUS DB)

3. EAP-TTLS (Tunneled TLS)

  • 인증 방식: 서버 인증서 + 클라이언트는 다양한 방식 (PAP, CHAP, MSCHAPv2 등)
  • 보안성: ★★★★☆
  • 사용 예: 인증 유연성이 필요한 환경
  • 장점:
    • 다양한 내부 인증 방식 지원
    • 클라이언트 인증서 불필요
  • 단점:
    • 일부 OS에서 기본 미지원 (추가 클라이언트 필요)

4. EAP-FAST (Flexible Authentication via Secure Tunneling) – Cisco 전용

  • 인증 방식: PAC (Protected Access Credential) 기반 터널링
  • 보안성: ★★★★☆
  • 사용 예: Cisco 기반 대규모 환경
  • 장점:
    • 인증서 없이도 빠르고 안전한 인증 가능
    • 빠른 재인증
  • 단점:
    • Cisco 환경에 최적화, 비표준 시스템 호환성 

5. LEAP (Lightweight EAP) – 구버전, 사용 비권장

  • Cisco가 만든 초기 방식
  • 보안상 취약점 존재 → 현재는 사용 권장 안 함

방식                     클라이언트 인증서        서버 인증서          사용자 정보 기반       보안 수준                   비고

EAP-TLS X ★★★★★ 최고 보안
PEAP-MSCHAPv2 ✅ (ID/PW) ★★★★☆ 일반 기업용
EAP-TTLS ★★★★☆ 다양한 내부 인증 지원
EAP-FAST ✅ (또는 PAC) ★★★★☆ Cisco 환경 최적
LEAP ★★☆☆☆ 구식, 미사용 권장

 

Cisco 9800 WLC에서 무선 802.1X 설정 시 고려사항

  • WLAN Policy Profile에서 WPA2/WPA3 Enterprise 활성화
  • AAA 서버 설정(RADIUS) 연동 필요 (예: Cisco ISE, Windows NPS)
  • RADIUS 서버에서는 사용자 계정 or 인증서 기반 인증 방식 설정
  • 클라이언트에서 EAP 설정도 일치해야 연결 가능

 

안녕하세요.

 

오늘은 5G 채널간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Wi-Fi에서의 5GHz (5G Wi-Fi)

무선 LAN의 주파수 대역 중 하나로, 2.4GHz보다 빠르고 간섭이 적은 주파수 대역입니다.

비교 

--------

항목                                                            2.4GHz                                                                    5GHz

속도 낮음 (~100 Mbps) 높음 (~1 Gbps 이상 가능)
간섭 많음 (블루투스, 전자레인지 등 공유) 적음 (더 많은 채널, 간섭 적음)
커버리지(거리) 넓음 짧음 (벽이나 장애물에 약함)
채널 수 3개 비중첩 (1,6,11) 20개 이상 비중첩 채널 사용 가능
사용 추천 환경 IoT, 일반 웹서핑 고속 데이터 전송, 스트리밍, 게임

 

Wi-Fi의 5GHz 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채널 중, 서로 간섭이 없는 채널을 의미합니다. 이 개념은 2.4GHz에서의 1, 6, 11 비중첩 채널과 유사하지만, 5GHz 대역은 더 많은 비중첩 채널을 제공하여 훨씬 유리합니다.

 

5G WIFI 

 

  • 대역폭 범위: 5.150 GHz ~ 5.825 GHz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채널 번호: 36 ~ 165
  • 채널 간격: 20MHz, 그러나 40MHz, 80MHz, 160MHz 대역폭 확장도 가능
  • 많은 국가에서 DFS (Dynamic Frequency Selection) 채널을 사용할 경우, 레이더 감지 시 채널 변경 필요

5GHz의 비중첩(Non-overlapping) 채널

20MHz 대역폭 기준 (가장 일반적)

 

채널 번호 DFS 여부 설명

36, 40, 44, 48 ❌ (비DFS)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됨
52, 56, 60, 64 ✅ (DFS) 레이더 간섭 시 채널 변경 발생 가능
100, 104, 108, 112, 116, 120, 124, 128, 132, 136, 140 ✅ (DFS) 주로 고급 AP에서 사용
149, 153, 157, 161, 165 ❌ (비DFS) 주로 북미 및 일부 국가에서 허용됨

 

 

24개 이상의 비중첩 20MHz 채널이 존재 가능 (DFS 포함 시)

DFS를 제외하면 총 9개가 비중첩 입니다. 

 

채널 대역폭 비중첩 채널 수 예시 (DFS 제외)

20MHz 최대 8개 (DFS 포함 시 20개 이상 가능)
40MHz 약 4개 (36+40, 44+48 등)
80MHz 약 23개 (3648, 149~161 등)
160MHz 1개 (DFS 포함 시 가능)

 

4. DFS (Dynamic Frequency Selection)란?

  • 레이더와 주파수 중첩이 발생할 수 있는 채널을 사용할 경우, AP가 레이더 신호 감지 시 해당 채널을 자동으로 비활성화하고 다른 채널로 이동
  • 채널 스캔 및 대기 시간이 발생하므로 실시간 서비스(VoIP, 스트리밍 등)에 잠깐 영향 가능
  • 대부분의 고성능 AP에서 DFS 채널도 사용 가능하지만, 안정성을 위해 일부 환경에서는 DFS 채널 비활성화 권장

5. 실제 사용 시 권장 비중첩 채널 구성 (20MHz 기준)

  • 채널 36, 40, 44, 48
  • 채널 149, 153, 157, 161

이들 채널은 DFS 영향이 없고 간섭도 적어서, 일반적인 기업 및 가정 환경에서 비DFS 비중첩 채널로 안정적 사용 가능

 

항목 요약 설명

비중첩 채널이 많은 이유 5GHz 대역폭이 넓어 더 많은 20MHz 채널 사용 가능
비중첩 채널 추천 (20MHz) 36, 40, 44, 48 / 149, 153, 157, 161
고속이 필요할 때는? 40/80MHz 사용 가능하지만 비중첩 수는 줄고 간섭 가능성 증가
DFS 채널 사용 시 주의사항 레이더 간섭 시 채널 변경 → 일시적인 연결 문제 발생 가능
실제 권장 설정 DFS를 꺼두고 3648, 149161 중에서 비중첩 채널 선택

 

실전에서 항복 사항들

 

항목 권장값 또는 설명

5GHz 대역폭 20MHz (안정성 위주), 40MHz(속도 위주)
DFS 채널 비활성화 권장 (환경에 따라 사용 가능)
AP 간 최소 간격 10~15m 이상, 채널 간 중복 최소화
DCA 및 TPC 사용 여부 자동 설정 유지 권장 (단, 수동 구성도 가능)
고밀도 환경 5GHz only + 20MHz + Client Load Balancing

 

비중첩 채널 조합

대역폭 조합 예시

20MHz 36, 40, 44, 48, 149, 153, 157, 161
40MHz 36+40, 44+48, 149+153, 157+161
80MHz 3648, 149161

 

안녕하세요.

 

오늘은 cisco WLC wifi 2.4G 채널 간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4GHz 채널 간섭은 Wi-Fi 성능 저하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 주파수 대역은 공유되는 대역폭이 적고, 많은 장비들이 사용하는 특성 때문에 **채널 간섭(Interference)**이 자주 발생합니다.

 

  • 2.4GHz 대역은 2400MHz ~ 2483.5MHz 사이를 사용
  • Wi-Fi에서는 총 14개 채널이 정의되어 있지만, 한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1~13번 채널만 사용
  • 채널 간격은 5MHz, 하지만 하나의 채널 폭은 20~22MHz

따라서 채널들이 서로 겹칩니다 (overlap)

 

2. 채널 간섭(Overlapping Channel Interference)

예제)

 

  • 채널 1을 사용하는 AP와 채널 2를 사용하는 AP는 물리적으로 주파수가 겹침
  • 서로의 신호가 간섭하여 속도 저하, 패킷 손실, 연결 끊김 등이 발생 가능

비중첩 채널 (Non-overlapping channels)

2.4GHz에서 간섭을 줄이기 위해 다음 3개 채널만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채널 1
  • 채널 6
  • 채널 11

이 3개 채널은 서로 간섭이 거의 없으며, Enterprise 환경에서는 반드시 이 3채널만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3. 간섭의 주요 원인

 

원인 설명

다른 Wi-Fi 네트워크 인접 AP가 같은 채널 또는 인접 채널 사용 시
블루투스, 무선 마우스 등 2.4GHz를 공유하는 다른 기기들이 간섭 발생
전자레인지, 무선 전화기 등 비-Wi-Fi 간섭 (Non-Wi-Fi Interference)
많은 사용자 접속 AP 자체의 혼잡도 증가

 

 

해결 방법

1) 채널 수동 설정

  • 자동 채널 지정(Auto Channel)을 끄고, 1, 6, 11 중 수동 지정 권장

2) 2.4GHz 비활성화 (필요 시)

  • 가능하면 5GHz 위주로 사용
  • 일부 AP에서 2.4GHz는 비활성화하고, 고밀도 환경에서는 5GHz만 사용

3) 채널 간격(Channel Width) 조절

  • 2.4GHz에서는 반드시 20MHz 고정 사용 (40MHz는 간섭 심화)

4) RF 환경 분석

  • Ekahau, NetSpot, Acrylic Wi-Fi 등 RF 분석 도구를 사용하여 간섭 분석 및 최적화 가능

결론

 

  • 2.4GHz 대역은 혼잡하고 채널 겹침이 많아 기본적으로 간섭에 취약
  • 가능한 경우 **5GHz 또는 6GHz(Wi-Fi 6E)**를 사용하는 것이 최선
  • 2.4GHz를 꼭 사용해야 한다면 채널 1, 6, 11만 선택하고, 수동 관리가 매우 중요

 

안녕하세요.

 

Cisco AP별 권장 Client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AP 모델 최대 클라이언트 수 (전체 AP) 권장 최대 클라이언트 수 (전체 AP)

Catalyst 9105AX 제한 없음 25
Catalyst 9115AX 제한 없음 50
Catalyst 9120AX 제한 없음 75
Catalyst 9130AX 제한 없음 100
Catalyst 9160AX 제한 없음 150
Catalyst 9166AX 제한 없음 200

 

하지만

 일반적인 권장 사항

  • 일반 사무실 환경: 1 AP당 15~25명의 클라이언트 연결을 권장합니다.
  • 고밀도 환경 (예: 대형 회의실, 강의실): 1 AP당 최대 50명까지 연결할 수 있으나,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30명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음성 통화 중심 환경 (VoIP): 1 AP당 7~8명의 동시 음성 통화를 권장합니다.

무선 같은 경우 Client가 얼마나 많은 Traffic를 발생하고 어떤 트래픽을 발생 할지 알수 없기때문에, 일반적으로 중요한 트래픽 같은경우는 QoS를 설정하시길 바랍니다.

 

+ Recent posts